본문 바로가기
728x90

문화생활43

K-SF의 대표작, 책 <천 개의 파랑> | 기계보다 따뜻한 감성 SF 천선란 작가의 장편소설 은 제4회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대상 수상작으로, 기계와 인간이 함께 살아가는 미래를 섬세하게 묘사한 감성 SF 소설이다. 국내 연극·뮤지컬을 거쳐 최근 워너브라더스 픽처스와 영화화 계약을 맺으며 한국 SF 문학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SF소설의 새로운 감성 | 기수 로봇 ‘콜리’의 시선『천 개의 파랑』의 시작은 매우 특별하다. 바로 휴머노이드 로봇 ‘콜리’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연다. 콜리는 말을 타는 기수로 개발된 로봇으로, 인간을 모방하지만 감정을 ‘이해’하는 존재다. 사고로 인해 더 이상 말을 탈 수 없게 된 후, 폐기 위기에 놓인 콜리는 인간 가족들과 지내게 되면서 새로운 삶을 경험한다.SF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소설의 분위기는 차갑거나 기계적이지 않다. 오히려 잔잔하고.. 2025. 8. 1.
대학로 감성 충만 뮤지컬 <긴긴밤> 리뷰 2025년 3월, 대학로에서 엄마와 함께 처음으로 뮤지컬 을 관람했다. 아이부터 어른까지 공감할 수 있는 따뜻한 동물 우화 형식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에게 위로와 메시지를 전해주는 작품이었다. 단순히 뮤지컬 이상의 의미를 가진, 잊지 못할 관극 경험이었다.코뿔소의 선택과 성장 – 고아원을 떠난 이유뮤지컬 은 ‘코끼리 고아원’에서 시작된다. 그곳에서 평생을 살아온 코뿔소는 ‘선택의 날’을 맞는다. 고아원에 남아 익숙하고 안전한 일상을 이어갈지, 아니면 세상 밖으로 나가 같은 종족인 코뿔소를 만나볼지. 코뿔소는 두려움을 무릅쓰고 ‘밖으로 나가겠다’는 결정을 내린다.이 선택은 단순한 이탈이 아니라 자아 정체성과 삶의 방향에 대한 주체적인 결정이다. 고아원에서는 안전하지만, 진짜 자신을 찾을 수 없었기.. 2025. 7. 31.
모든 게 무너졌을 때, 그녀는 다시 시작했다 | 책 <비바, 제인> 감상 개브리얼 제빈의 장편소설 은 아비바 그로스먼의 스캔들을 중심으로 여성의 삶과 성장, 그리고 재탄생의 이야기를 풀어낸다. 가족과 주변 인물들의 시선으로 전개되는 서사 덕분에 감정 이입이 깊었고, 인생을 다시 시작하고 싶은 마음을 가진 이들에게 강한 울림을 주는 작품이다.아비바 그로스먼과 스캔들, 그리고 재탄생의 여정이 소설의 중심인물 아비바 그로스먼은 한 번의 스캔들로 인해 삶이 송두리째 바뀌는 인물이다. 작품은 아비바의 스캔들을 단순한 사건으로 소비하지 않는다. 오히려 스캔들 이후 그녀가 겪는 사회적 시선, 가족과의 갈등, 그리고 다시 일어서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이야기가 아비바의 주변 인물들의 시선으로도 그려진다는 것이다. 이 다층적인 시선 덕분에 독자는 아비바의 감정뿐 아.. 2025. 7. 30.
“얘들아, 상을 차려라” | <레슨 인 케미스트리>, 책과 드라마가 전한 여성과학자의 독립 선언 는 1960년대 성차별적 사회 속에서 자신의 길을 개척한 화학자 엘리자베스 조트의 이야기를 담은 소설이다. 이 작품은 애플TV 드라마 로도 제작되어 원작의 매력을 영상으로 옮겨 놓았다. 책과 드라마를 비교하며 느낀 차이점과 인상적인 포인트를 정리했다.책 속 엘리자베스 조트와 드라마의 캐릭터 해석책의 엘리자베스 조트는 철저히 과학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여성이다. 커피를 내릴 때조차 시간, 온도, 용량을 실험처럼 분석하고, 요리를 화학 실험으로 대하는 태도는 그녀의 지성과 개성을 잘 드러낸다. 원작 소설 속 그녀는 매우 단단하고 독립적인 성격으로, 사회의 편견에 맞서며 스스로의 신념을 굽히지 않는다. 애플TV 드라마에서는 엘리자베스의 매력을 좀 더 대중적으로 다듬었다. 책보다 감정선이 강조되고, 시청.. 2025. 7. 29.
뮤지컬 <베르테르>, 24영식이라면? 봄밤에 본 클래식한 연애 서사 2025년 3월 2일, 신도림 디큐브 아트센터에서 뮤지컬 를 관람했다. 원작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기반으로 한 이 작품은 서정적인 피아노 선율과 청춘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다. 중블 3열에서 본 공연의 생생한 후기와 인상적인 장면들을 정리했다.중블 3열에서 느낀 몰입감이번 공연은 신도림 디큐브 아트센터 중블 3열이라는 매우 가까운 자리에서 관람했다. 배우들의 표정과 감정이 그대로 전해지는 위치라 마치 무대 속에 들어간 듯한 몰입감을 느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긴장감도 있었다. 눈앞에서 배우들이 노래와 연기를 펼치는 순간, 내가 졸면 바로 들킬 것만 같은 기분이 들었기 때문이다. 공연 중 피아노 선율이 너무 서정적이고 잔잔해서 졸음이 몰려오는 순간이 있었다. 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배우들의 표정과 .. 2025. 7. 28.
고통스러웠지만 축제 같았다” | 프리다 칼로의 인생이 깃든 무대 <프리다> 뮤지컬 는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고통과 열정을 그린 작품이다. 2025년 7월 22일에 관람한 공연에서는 김지우, 장은아, 이지연, 유연정 배우가 출연하며 각자의 매력으로 무대를 완성했다. 프리다 칼로의 삶, 예술, 그리고 무대 연출과 배우들의 열연이 돋보였던 관극 후기를 정리했다.프리다 칼로의 삶과 예술이 무대 위로뮤지컬 는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인생을 바탕으로 한다. 소아마비, 교통사고, 세 번의 유산, 남편 디에고의 불륜 등 고통으로 점철된 삶을 예술로 승화시킨 프리다의 이야기는 관객에게 큰 울림을 준다. 공연을 보기 전에는 다소 무거운 분위기를 걱정했지만, 막상 무대를 마주하니 몰입도가 남달랐다. 작품 속 프리다는 스스로의 삶을 "고통스러웠지만 축제 같았다"고 표현한다. 이 말은 공연 .. 2025. 7. 23.
반응형